톺아보다

대한민국 석탄산업의 흐름

글 | 유승철 대한석탄공사 비서홍보팀장 / 정리 | 편집실

  • *주유종탄 主油從炭

    석유를 주요 연료, 석탄을 보조 연료로 하는 정책

    *주탄종유 主炭從油

    석탄을 주요 연료, 석유를 보조 연료로 하는 정책

    • 1896~1930 움트다
    • 왕실, 석탄채굴권 허가(1896)

      평양광업소 개광(1903)

      - 아오지 탄광 개발(1920년대)

      『광업법』 제정(1906)

    • 1930~1945 일제가 빼앗아가다
    • 일제, 대륙 침략을 위해 석탄을 채굴하여 빼앗음

      - 1935년 석탄 생산량 200만 톤 돌파

      문경탄광(1926), 구암탄광(1931), 영월탄광(1935), 삼척탄광(1936) 개광

    • 1945~1956 기반을 닦다
    • 미군정, 석탄을 긴급 생활필수품으로 지정(1945.11.)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석탄 생산량 늘리는 데 집중 투자

      6·25전쟁 중 대한석탄공사 설립(1950.11.1.)

      탄광 개발 지원, 석탄산업철도 설치

    • 1957~1966 전성시대
    • 석탄 생산량 늘리기 및 민영 개발을 위한 정책 마련

      - 석탄산업철도(영암선) 개통

      석탄 자급자족 실현

    • 1967~1973 석유의 등장 주유종탄 정책*
    • 연탄 파동 1) (1965~1966)

      연료 정책, 유류 위주로 전환(1966.11.)

      석탄산업 합리화 논의

      - 주요 연료를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

      「석탄산업 육성에 관한 임시조치법」(1969) 제정

    • 1896~1930 석유에서
      다시 석탄으로 주탄종유 정책*
    • 제1차 석유파동 2) (1973.10.)

      - 동력자원부 신설(1978): 장기에너지 수급 대책 전담

      제2차 석유파동(1978.12.~1980.7.)

      - 석탄 활용으로 위기 극복

      석탄 사용은 산림녹화에 기여

    • 1896~1930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 청정연료(가스) 사용 증대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1987~)

      - 제도적 기반 「석탄산업법」(1986), 1988년 석탄 산업의 폐광 정리 명문화 개정

      - 강원랜드, 관광자원 개발 등으로 폐광지역 경제 활성화 도모

      - 대한석탄공사가 운영하는 마지막 탄광인 도계광업소 2025년 폐광 예정

* 자료 출처: 『대한석탄공사 50년사』(2001.12., 대한석탄공사), 「제6차 석탄산업 장기계획(2021-2025)」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1-871호)

석탄 자급률의 변화

탄광 수

석탄산업의 변화

구분 1988년 2020년 증감
운영 탄광(개) 347 4 △99%
연간 생산(만 톤) 2,430 102 △96%
근로자 수(명) 62,259 2,219 △96%
국내 1차 에너지 소비 비중(% 15.2 0.2('19년)
국내 최종 에너지 소비 비중(%) 15.9 0.1('19년)
연탄 사용 가구 비중(%) 77.8 0.5('19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