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
> 전시
> 상설전시
> 역사관
상설전시 역사관 History Gallery
역사관은 한국 현대사의 여정을 파노라마로 조명합니다.
전시는 민民이 주인임을 자각하고 근대적인 국가 만들기를 모색한 시기에서 출발하여 국민국가의 새로운 경계를 질문하게 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를 탐색합니다.
세계사의 격랑 속에서 한국인들은 어떤 나라와 어떤 삶을 꿈꾸며 살아왔을까요?
1부 1894 - 1945 자유, 평등, 독립을 꿈꾸며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 좌절, 일본 제국주의 지배에 대한 저항, 그리고 새로운 문화와 교육의 경험으로 변화해 가는 사람들의 삶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부 1945 - 1987 평화, 민주, 번영을 향하여
광복 이후 정부수립 과정과 6·25전쟁, 고단했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잘살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민주적인 사회와 인간다운 삶을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3부 1987 - 현재 나-대한민국-세계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민주화와 세계화, 탈냉전 이후 남북관계의 변화, 네트워크 사회의 등장에 따른 변화를 겪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아카이브
디지털 아카이브
역사관에서는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문헌, 사진, 음원, 구술영상 등의 사료를 터치스크린형 키오스크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 나의 독립영웅널리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100편의 미니 다큐 영상
- 상해판 독립신문대한민국임시정부의 기관지의 기사 원문과 풀어쓴 내용
- 일제강점기 도시의 변화지도와 사진으로 보는 일제 강점기 도시의 모습
- 일제강점기 대중음악대표적인 대중음악 30곡 듣기와 가수·작곡자의 사진, 가사, 광고
- 제헌의원제헌헌법과 제헌의원 198명의 사진과 약력
- 계몽과 선전해방공간 전단, 6·25 전쟁기 삐라, 1950~80년대 포스터, 표어, 담화문, 교육용 괘도
- 고바우 영감세계 최장수 시사만화 ‘고바우 영감’, 1955년~1987년까지의 원화
- 노동운동과 사회운동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까지 노동운동과 사회운동에 관련된 자료
- 한눈에 보는 대한민국대한민국의 토지, 인구, 가족, 교통 인포그래픽
- 세계 속 한류영상 콘텐츠로 보는 한류의 역사
- 네트워크 사회의 변화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보는 네트워크 사회 등장 과정
-
구술 아카이브
구술 아카이브
전시장 곳곳에서 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 4·19혁명과 5·16군사정변을 겪은 기증자 분들의 이야기와, 새마을운동에 참여하고 파독광부·간호사로서의 생애를 보낸 이야기, 그리고 외환위기 당시 노동자, 주부, 학생이었던 분들의 체험담을 직접 들을 수 있습니다.
-
역사 속 이야기
역사 속 이야기
다양한 매체와 연출로 꾸며진 별도의 공간에서 현대사를 살아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좀 더 가까이 느낄 수 있습니다.
- 소설가 구보씨의 경성산책등신대 크기의 스크린 속 배우의 복장과 몸짓 그리고 길거리 소리로 일제강점기 시대상과 삶을 보여줍니다.
- 선동과 낙서침략전쟁과 황국신민화를 선동하는 일본제국의 포스터와 이에 저항하는 이름 모를 사람들의 낙서를 볼 수 있습니다.
- 접어둘 수 없는 이야기일본군 ‘위안부’ 사건과 그 운동의 역사를 예술작품과 영상 그리고 피해자의 증언 목소리로 조명합니다.
- 계속되는 삶전후 한국사회의 사회상과 힘들었던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사진과 유물, 모형으로 보여줍니다.
- 잘도 도네 돌아가네조립 공정을 재현한 공간에서 한국 최초의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그 때 그곳에서 당신은6월 민주항쟁에 참여한 부산 시민의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였습니다.
- 그을린 시대, 사람들외환위기가 한국사회에 남긴 흔적을 설치 작품과 미디어 아트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나는 한국에 삽니다다양한 나라에서 건너와 한국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이주민들의 이야기를 만나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