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근현대사 아카이브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근현대사 아카이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 트위터 유튜브 네이버TV
  • ENGLISH
  • 日本語
  • 简体中文
  • 이용안내
    • 찾아 오시는 길
    • 관람안내
      • 일반관람
      • 어린이박물관 관람
    • 시설안내
      • 층별안내도
      • 편의시설
      • 대관시설
    • 전시해설
      • 전시해설
      • 수어해설
      • 자원봉사
    • 브로셔
    • 자주하는 질문
  • 전시
    • 특별 전시
    • 상설 전시
      • 역사관
      • 체험관
      • 주제관
      • 기증관
      • 어린이박물관
      • 구 상설전시 VR
  • 교육·행사
    • 교육
      • 교육일정
      • 교육신청
      • 나의 교육 확인/취소
      • 교육자료실
        • 영상자료
        • 도서자료
        • 어린이 보조자료
    • 문화행사
      • 참여신청
      • 나의 신청 확인/취소
  • 연구·발간
    • 연구
    • 발간물
    • 근현대사아카이브
  • 소장자료
    • 소장품
      • 소개
      • 검색
      • 이달의 소장품
    • 기증자료관
    • 구입
    • 열람 및 복제
    • 보존과학
      • 환경관리
      • 보존처리
  • 온라인 박물관
  • 소개·소식
    • 인사말
    • 비전 및 핵심가치
    • 연혁
    • 조직
    • MI
    • 건축물
    • 연보
    • 박물관 웹진
    • 알림
      • 공지사항
      • 채용정보
      • 동정
      • 보도자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 이용안내
  2. 시설안내
    • 찾아 오시는 길
    • 관람안내
    • 시설안내
    • 전시해설
    • 브로셔
    • 자주하는 질문
  3. 층별안내도
    • 층별안내도
    • 편의시설
    • 대관시설

시설안내

공유하기

  • 층별안내도
  • 편의시설
  • 대관시설
  • 1층on
    1층도면-주출입구 왼편에 어린이 체험교실, 어린이 박물관, 오른편에 관람객 휴게공간이 있습니다. 기타 시설은 아래 리스트 참조
    • 어린이박물관
    • 어린이 체험교실
    • 관람객 휴게공간
    • 안내데스크
    • 수유실
    • 자전거보관소
    • 응급대기실
    • 물품보관소
    • 유모차대여
    • 휠체어대여
    • 여자화장실/남자화장실
    •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계단

    도면 아이콘 설명 이미지

    대피동선 확인
    1층-대피동선: 중앙홀 아래의 주출입구와 안내도 왼쪽의 부출입구, 안내도 위쪽의 비상구 3개로 대피합니다. 건물 곳곳에 여러개의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비상계단, 옥내소화전, 소화기, 완강기, 피난구 유도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화재신고: 소방서 119, 초기대응 : 불이야라고 주위에 알리고 소화기로 초기진화, 대피요령 : 침착하게 환자, 노약자들을 도와 비상구로 대피 발화점 반대방향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승강기 탑승금지)
    층별안내 보기
  • 3층on
    3층 도면, 상단왼쪽에 다목적홀, 상단오른쪽에 역사관과 기획전시실이 있습니다. 하단 왼편은 주제관2, 하단 오른편에 주제관1과 기증관이 있습니다. 기타시설은 아래 리스트 참조
    • 주제관1
    • 주제관2
    • 기증관
    • 기획전시실
    • 역사관
    • 다목적홀
    • 물품보관소
    • 여자화장실/남자화장실
    •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계단

    범례

    대피동선 확인
    3층-대피동선: 안내도 중앙과 하단 오른쪽, 상단 중앙에 비상계단이 있습니다. 다목적홀에서 오른쪽으로 외부계단이 있습니다. 가까운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물 곳곳에 여러개의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비상계단, 옥내소화전, 소화기, 완강기, 피난구 유도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화재신고: 소방서 119, 초기대응 : 불이야라고 주위에 알리고 소화기로 초기진화, 대피요령 : 침착하게 환자, 노약자들을 도와 비상구로 대피 발화점 반대방향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승강기 탑승금지)
    층별안내 보기
  • 4층on
    4층 도면, 에스컬레이터 아래쪽에 체험관이 있습니다. 기타시설은 아래 리스트 참조
    • 체험관
    • 여자화장실/남자화장실
    •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계단

    범례

    대피동선 확인
    4층-대피동선: 체험관 왼쪽 상단과 오른쪽에 비상계단이 있습니다. 가까운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물 곳곳에 여러개의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비상계단, 옥내소화전, 소화기, 완강기, 피난구 유도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화재신고: 소방서 119, 초기대응 : 불이야라고 주위에 알리고 소화기로 초기진화, 대피요령 : 침착하게 환자, 노약자들을 도와 비상구로 대피 발화점 반대방향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승강기 탑승금지)
    층별안내 보기
  • 5층on
    5층 도면, 5층 전체에 걸쳐 역사관이 있습니다. 기타시설은 아래 리스트 참조
    • 역사관
    • 여자화장실/남자화장실
    •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계단

    범례

    대피동선 확인
    5층-대피동선: 휴게공간 위쪽과 역사관 입구, 역사관 출구쪽에 비상계단이 있습니다. 가까운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물 곳곳에 여러개의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비상계단, 옥내소화전, 소화기, 완강기, 피난구 유도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화재신고: 소방서 119, 초기대응 : 불이야라고 주위에 알리고 소화기로 초기진화, 대피요령 : 침착하게 환자, 노약자들을 도와 비상구로 대피 발화점 반대방향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승강기 탑승금지)
    층별안내 보기
  • 6층on
    6층 도면, 아래쪽 왼편에 강의실이 있습니다. 기타시설은 아래 리스트 참조
    • 강의실
    • 여자화장실/남자화장실
    •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계단

    범례

    대피동선 확인
    6층-대피동선: 옥상정원 위쪽과 안내도 중앙, 안내도 하단 오른쪽에 비상계단이 있습니다. 가까운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물 곳곳에 여러개의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비상계단, 옥내소화전, 소화기, 완강기, 피난구 유도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화재신고: 소방서 119, 초기대응 : 불이야라고 주위에 알리고 소화기로 초기진화, 대피요령 : 침착하게 환자, 노약자들을 도와 비상구로 대피 발화점 반대방향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승강기 탑승금지)
    층별안내 보기
  • 8층on
    8층 도면 엘리베이터 오른편에 옥상정원이 있습니다, 시설은 아래 리스트 참조
    • 옥상정원
    • 엘리베이터/계단

    범례

    대피동선 확인
    8층-대피동선: 8층 옥상정원 오른쪽의 건물내부 비상계단을 이용하거나 7층 옥상정원과 6층 옥상정원을고 가는 외부계단을 통해 대피합니다.. 가까운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물 곳곳에 여러개의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비상계단, 옥내소화전, 소화기, 완강기, 피난구 유도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화재신고: 소방서 119, 초기대응 : 불이야라고 주위에 알리고 소화기로 초기진화, 대피요령 : 침착하게 환자, 노약자들을 도와 비상구로 대피 발화점 반대방향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승강기 탑승금지)
    층별안내 보기

바로가기

  • 온라인 전시
  • 발간자료
  • 연관정보
  • 자주하는 질문
  • 전자민원
  • 행정정보공개
  • 클린신고센터
  • 공공데이터 개방
  • RSS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 방침
  • 저작권정책
  • 이용약관
  • 공무원행동강령
  • 행정서비스헌장
근현대사박물관 협력망 안내
이동
이동

대한민국역사박물관

0314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98 | 대표전화 02-3703-9200 | 팩스 02-3703-9216

Copyright ©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All Right reserved

저작권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 있습니다

OPEN 공공누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2.9.26 ~ 2023.9.2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