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포스터 다운로드 원본 포스터 다운로드
포스터 이미지
한류와 대중문화 특별전 우리가 사랑했던 [   ], 그리고 한류 The Pop Culture We Loved and Rise of the Korean Wave

전시기간 : 2023.7.19.(수) - 2023.9.3.(일)

장 소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 관 람 료 : 무료
  • 관람시간 : 10:00 18:00 (수, 토 : 10:00~21:00)
  • 관람문의 : 02-3703-9200

전시를 열며


음악,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를 좋아하시나요? 전 세계에서 한국 대중문화를 즐기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류’라는 이름도 붙었습니다. 한국 가수가 빌보드 차트에 올랐다거나, 한국 영화나 드라마가 국제 시상식에서 상을 받았다는 소식에 괜히 으쓱해지기도 합니다.

한류가 세계에서 인기이듯, 한국도 다양한 세계 문화를 받아들이고, 즐기고, 사랑해 왔습니다. 광복 이후부터 지금까지 할리우드 영화는 여전히 사랑받고 있고, 홍콩 영화나 일본 만화에 푹 빠졌던 때도 있었습니다. 이렇듯 국내외 대중문화에 열광하던 사람들은 새로운 음악과 영화, 드라마를 만들었고, 결국엔 한류에 이르렀습니다. 여러 사회 조건 속에서 다양한 문화에 열린 자세, 포용과 애정이 일궈낸 결과입니다.

세계의 문화 공간에서 한류는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까요? 다양한 세계 대중문화 속에서 한류가 생긴 것처럼, 한류와 더불어 세계에 더욱 다양한 대중문화가 꽃피길 기대해봅니다.

한국 속 미국 대중문화
예나 지금이나 우리가 즐기는 대중문화에는 미국에서 온 것이 참 많습니다. TV나 라디오, 혹은 거리나 가게 등 곳곳에서 미국의 팝 음악은 케이팝 만큼이나 흔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영미권 해외 음악인의 내한 공연은 1960년대에도 지금처럼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할리우드 영화는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60여 년 전에도, 영화를 보는 젊은 층 80% 이상이 미국 영화를 좋아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습니다. 영화 <로마의 휴일>이나 <벤허 >가 나온 것이 그때였고, 외국 영화 전용 상영관도 있었습니다. 또한 드라마는 한국 가정의 여가 시간을 바꾸어놓았습니다. 넷플릭스 같은 플랫폼이 없던 시절, 드라마 방영 시간에는 거실에 모두 모여 TV를 시청하곤 했습니다.
  • 현미 공연의상
    현미 공연의상 현미가 공연 때 입었던 의상이다. 현미는 과거 미8군 부대에서 활동하였으며 해외 가요제에 참가하여 입상까지 한 실력파 가수였다. 우리에게 익숙한 “밤안개” 등 많은 히트곡을 발표했고 방송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하며 대중들에게도 익숙한 가수였다. 2023년 4월, 우리의 곁을 떠나며 많은 사람들의 안타까움을 더했다.
  • 쎄시봉에서 틀었던 음반1 쎄시봉에서 틀었던 음반2 쎄시봉에서 틀었던 음반3
    쎄시봉에서 틀었던 음반 쎄시봉에서 실제 틀었던 음반이다. 쎄시봉은 1960년대 명동에 있던 대표적인 음악감상실이다. 음악감상실은 당시 구하기 힘든 미국과 유럽의 팝 음반을 틀어주어 인기가 많았다. 또한 공연과 각종 문화행사를 열며 당시 청년문화를 선도하였다.

  • 영화세계
    『영화세계』 1954년 12월에 창간한 영화 잡지이다. 표지에 외국 여배우 사진을 실었으며, 『국제영화』와 더불어 영화계의 가십거리나 국내외 스타 이야기, 제작 비화, 수입 영화를 소개하였다.
  • 수사반장 대본
    <수사반장> 대본 범죄 사건을 다룬 한국 최초 수사 드라마로 1971부터 1989년까지 MBC에서 방영했다. 18년 동안 국민드라마로서 타방송사의 수사 드라마 경쟁에서도 크게 앞서며 인기를 있었다. 미국 드라마 <형사 콜롬보>처럼 사건의 답을 먼저 알려주고 서사를 진행하였다.

  • 아시아를 이은 홍콩과 일본 대중문화
    1950년대부터 동아시아의 대중문화 시장은 점점 커졌습니다. 홍콩은 수많은 인구를 둔 중화권 시장을 바탕으로 하되, 서구 시장을 활용하여 영화 산업을 키웠습니다. 한편 일본 대중문화는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거대하고 탄탄한 자국 시장을 바탕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러한 자양분으로 성장한 각 문화는 인근의 동아시아 시장, 나아가 세계로 뻗어나갔습니다. 1970년대 이후 한국에서도 많은 사람이 홍콩 영화를 관람하고, 일본 만화, 음악, 영화, 드라마를 즐겼습니다. 당시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들은 홍콩이나 일본의 콘텐츠를 중요하게 참고하였습니다.
  • 영웅본색 영화포스터
    <영웅본색> 영화포스터 오우삼 감독의 누아르 영화 <영웅본색> 포스터이다. 홍콩 누아르 영화의 전설이라는 평가와 함께 국내에서는 1987년 서울 화양극장에서 개봉하였다. 국내 첫 개봉 시에는 인기가 없었지만 비디오로 출시되면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 홍콩 영화 비디오테이프
    홍콩 영화 비디오테이프 홍콩 영화는 1970~1990년대까지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켰다. 이소룡과 성룡의 액션영화에서부터, 주윤발과 장국영의 <영웅본색> 같은 누아르 영화, 그리고 왕가위 감독의 홍콩 뉴웨이브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1980년대 말, 한국에서 가정용 비디오 시장이 커지면서 홍콩영화는 급속도로 퍼졌다. 홍콩영화는 1990년대 말 한국 영화의 부흥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 만화잡지 창간호
    만화잡지 창간호 일본 만화출판 합법화 이후 일본 만화를 처음으로 공식 소개한 만화잡지들이다. <드래곤볼>, <슬램덩크>, <카드캡터체리> 등 인기 만화를 연재하였다.
  • X-JAPAN 복사 카세트테이프
    X-JAPAN 복사 카세트테이프 일본의 록그룹 X-JAPAN 복사 테이프이다. 한국에서는 J-POP으로 유명한 아무로 나미에와 함께 가장 큰 매니아층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록 음악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Endless Rain”, “Tears” 등의 대표곡이 있으며 일본문화 개방 전까지 정식으로 앨범을 구매하기 어려워 해적판이나 음반을 복사해서 듣는 경우가 많았다.

  • 한국 대중문화에서 한류로
    한류는 한국 대중문화가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문화현상을 일컫습니다. 한국 대중문화는 어떻게 한류라는 현상이 되었을까요? 전문가들은 저마다의 해석을 내놓습니다. 국가 정책과 지원 덕분일까요? 한국 대중문화가 그 자체로 우수했던 것일까요? 아니면 한국이 해외 대중문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일까요? 혹은 비슷한 동아시아 문화를 가진 중화권과 일본에서 한국 대중문화를 쉽게 받아들였기 때문일까요? 유튜브와 넷플릭스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덕분인가요? 그것도 아니라면 그저 운이 좋았을 뿐인가요? 이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며 전시를 보고, 앞으로의 한류는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보시길 바랍니다.
  •  한류 Ⅱ - Song from Korea 음반
    <한류 Ⅱ - Song from Korea> 음반 중국과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와 대중음악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1999년 한국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홍보를 지원하기 위해 <韓流-Song from Korea>라는 제목의 음반을 해외로 제작, 배포하였다. 한국에서 '한류'라는 말을 쓴 최초 사례 중 하나이다.
  • H.O.T 중국 발매 음반
    H.O.T. 중국 발매 음반 중국에서 발매한 H.O.T. 앨범이다. H.O.T.는 활동 당시 국내에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며 중화권 시장까지 사로잡았다. 인기곡 12곡이 담겨 있는 음반 CD와 공연실황 VCD가 들어있다.

  • 한류스타의 시대
    『한류스타의 시대』 한국 배우 및 아이돌을 다루는 일본의 잡지들이다. 배용준, 이병헌, 권상우, 장동건과 더불어 엑소, 세븐틴, BTS 등 남성 배우와 그룹이많은 인기를 끌었다.
  • 싸이가 표지 모델로 등장한 『빌보드』
    싸이가 표지 모델로 등장한 『빌보드』 싸이는 빌보드 차트 집계 방식을 바꾸었다. 유튜브 조회수보다 라디오에서의 인기로 순위를 매기는 기존 관행 때문에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빌보드 Hot 100에서 2위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이 잡지는 그런 관행을 바꾸겠다는 기사를 담고 있다.

  • BTS 아미밤 2
    BTS <아미밤 2> 케이팝 공연에서 응원은 팬심을 드러내는 핵심이다. 팬들은 각 아이돌 그룹이 가진 상징색을 활용하여 자신의 가수를 응원하고, 응원봉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진화를 거듭했다. 최근의 아이돌 응원봉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하여 화려한 응원 연출을 구현한다. 응원봉으로 대표하는 한국의 아이돌 응원문화는 세계에서도 큰 관심을 끌고 있다.
  • 첨부파일

    • 전시 리플릿 : 한류와 대중문화 특별전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