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감 로고

특별한
역사 만나기

함께 만들어가는 근현대 역사박물관

최근 공공역사(Public History)에 관한 국내의 관심이 늘고 있다.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한 공공역사는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의미로 정의되고 실천되는 중이다. 역사연구자에 의해 역사가 독점되던 시대에서 모두의, 모두에 의한, 모두를 위한 역사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공공역사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역사박물관의 과제를 고민하고자, 올해 공공역사포럼을 여섯 차례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5월 14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제1차 공공역사포럼이 열렸다. 글 / 연구기획과 이경순 학예연구사

박물관은 근현대 역사를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

지난 5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제1차 공공역사포럼 주제는 ‘근현대 역사박물관의 붐과 경합하는 정체성’으로 정병욱 고려대 교수가 발제를, 허영란 울산대 교수가 지정토론을 맡았다.
이날 발표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근현대 역사박물관이 건립되는 ‘붐’에 주목하며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박물관의 설립과 목적, 그 활동을 분석했다. 근현대 역사박물관이 급증한 이유가 무엇인지, 근현대 역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늘어났는지에 대한 여러 의견이 오갔다. 주진오 관장은 연 100만 관람객이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찾는다는 것은 분명 근현대 역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박물관이 근현대 역사 콘텐츠의 무엇을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에서는 사람들이 근현대사를 ‘어두운’ 서사로 인식해 무겁고 거리감 있는 역사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역사와 전시내용을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는 새로운 역사상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근현대 역사박물관 건립 증가에 대해서는 2000년대 이후 진행되고 있는 우리 근현대사에 대한 재조명, 진상 규명 작업과 연관된 현상으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근현대 역사박물관은 우리가 잘 알고 있던 근현대 역사를 재조명하고, 잘 알지 못했던 사실과 역사 인물까지도 전달한다. 이런 콘텐츠를 다루는 박물관들의 전시가 대중에게 전달되면서 예상하지 못한 효과를 낳기도 하는데, 그러한 현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논의는 역사박물관이 수용해야 할 정체성의 경합으로 이어졌다. 역사, 특히 한국의 근현대사는 다양한 정체성들이 치열한 경합을 이루는 전장이고 그 모습은 역사박물관에도 똑같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토론자들은 근현대 역사 콘텐츠를 흥미롭게 전달하려면 논쟁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슈를 능동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정체성이 경합하는 장을 구성하면 그만큼 관심이 늘 것이라는 말이다.
박물관은 누가 왜 만드는 것일까. 기념하고자 하는 주체와 대상은 어떻게 정해질까. 박물관이나 기념관에서 역사를 다루는 방법과 기술들은 또 어떠한가. 사건과 인물 행적의 진위 문제를 넘어서 역사의 재현과 배치는 어떤 의도를 갖고 있는가. 또는 어떤 사실을 드러내고 어떤 사실은 은폐되는가. 역사박물관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가치는 무엇일까. 공동체 정체성의 확인인가, 현재에 대한 비판적 성찰인가. 제1차 공공역사포럼은 이런 기본적인 질문들을 다루며 논의의 첫발을 떼는 자리였다.

근현대 역사박물관의 역사 실천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일부가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이 함께 만들어가는 근현대 역사박물관을 전망하는 자리였다.

모든 사회 구성원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공역사의 가치

박물관은 공공역사의 최전선에 있다고들 말한다. 공공역사는 공적 삶의 영역에서 전개되는 역사 지식의 생산과 전달, 소비와 활용에 관련된 모든 실천을 대상으로 삼는다. 이러한 공공역사의 개념에 따르면 박물관이야말로 공공역사에 더없이 적합한 장소가 된다. 박물관은 역사를 사회의 모든 구성원과 공유하며 대화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간 박물관을 공공역사 관점에서 다루는 일은 드물었다. 중앙정부와 지방 자치단체, 혹은 사회단체와 개인에 의해 수많은 역사기념사업이 이루어지고 기념 장소로서 역사박물관이 여럿 설립됐지만, 박물관 및 기념관 건립 과정에서 공공성을 묻고 성찰하는 일은 드물었다. 이는 박물관이나 기념관이 지자체 및 사회단체의 주도로 설립, 운영되면서 설립 주체의 시각과 욕망이 일방적으로 반영된 탓이 크다. 그 결과 어떤 역사는 기념되고 어떤 역사는 간과됐다. 크게 부각된 인물과 사실에 가려져, 작고 힘없는 정체성들은 그림자처럼 사그라졌다. 시대나 지역의 정체성은 한 가지 색깔 혹은 한 가지 이야기로 뭉뚱그려 덧칠한 경우가 허다했다.
이러한 이야기가 오간 1차 공공역사포럼의 의미는 결코 작지 않았다. 근현대 역사박물관의 역사 실천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일부가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이 함께 만들어가는 근현대 역사박물관을 전망하는 자리였다. 이제 근현대 역사박물관은 경합하는 정체성들의 긴장을 포용하고 다양한 층위의 대중들과 소통하고 호흡하며 공공역사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