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그날

1987년 12월 16일
우리나라 최초 남극 세종과학기지 기공식

빙하가 떠다니고 눈보라 속에 펭귄이 사는 곳, 남극.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남극에는 극지 연구를 위해 건설한 우리나라 세종과학기지가 존재한다. 미래에 인류의 생존 문제를 해결할 정답을 찾고자 고군분투하는 세종과학기지의 시간을 들여다본다.

우리나라가 남극에 관심을 갖고 진출한 것은 1978년 남극해 크릴 조사 때였다. 1986년 세계에서 서른세 번째로 남극조약에 가입하고 이듬해 남극기지를 건설하기로 결정하면서 남극 연구는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외무부와 연구원, 현대건설은 서남극 사우스셰틀랜드 군도 킹조지섬을 중심으로 기지 후보지를 답사했다. 남극에서도 비교적 기후가 온화한 편인 킹조지섬 바톤반도에 자리를 잡고 1987년 12월 16일 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첫 삽을 떴다. 자재와 건설 장비를 실은 건설선 HHI-1200호가 울산항을 떠나 킹조지 섬에 도착했다. 남극의 여름에 공사를 진행해 1988년 2월 17일 우리나라 최초의 남극 과학 기지인 세종과학기지가 준공되었다. 주변에는 아르헨티나와 러시아, 칠레 등 8개국의 상주 과학기지가 있다.

세종과학기지에는 매년 약 17명의 월동 연구대가 1년 단위로 상주한다. 여름에는 100여 명의 하계 연구대가 3개월간 머물며 극지를 연구한다. 주요 업무는 세 가지다. 기후변화와 해양·대기·오존층·유용 생물 자원 등의 연구 업무, 세계기상기구 전송과 기상청·대학·정부출연연구기관과 공유하는 기상 관측 업무, 남극 조류에 대한 생태계를 모니터링하는 남극 특별보호구역 운영이 그것이다. 지구와 우주를 살피는 관측소이자 땅속에서 지구 역사의 비밀을 찾아내는 극지 생물 연구는 지구 환경 변화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게 해준다. 지구상에서 문명의 오염이 가장 적어 ‘천연 실험장’이라 불리는 남극에서 우리나라의 연구대는 혹독한 자연환경을 이겨내며 훌륭한 성과를 내고 있다.

세종과학기지 건설 후 우리나라의 남극 연구는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2014년에는 두 번째 남극 기지인 장보고과학기지를 남극 본대륙에 건설해 연구 지역을 확장했다. 우리나라를 넘어 불확실한 미래를 준비하는 인류 전체의 이익을 위해 세종과학기지가 더 크고 알차게 활약해주기를 기대한다.

세종과학기지 한눈에 보기
* 자료 출처: 극지연구소
사진 제공. 극지연구소
top
<역사공감>은 대한민국 근현대사와 관련된 전시, 조사·연구, 교육, 문화행사 및 교류 사업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다양한 활동을 전하는 계간 소식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