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포스터 다운로드 원본 포스터 다운로드
1950 흥남, 그 해 겨울
광복 70년 기념특별전

1950 흥남, 그 해 겨울

Heungnam, the Winter of 1950

기 간 : 2015.12.15 [tue] ~ 2016.02.28 [sun]

장 소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 관 람 료 : 무료
  • 관람시간: 오전 10시-오후 6시
  • 수요일 및 토요일 오후 9시까지 야간개관 (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 가능)
  • 관람문의 : 02-3703-9200

전시를 열며 (Opening Special Exhibition)

「1950 흥남 – 그 해 겨울」
전시에 앞서 전시 개요를 소개합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는 올해의 마지막 전시로 6·25 전쟁 중 일어난 흥남철수를 주제로 <1950 흥남, 그 해 겨울>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그 해 겨울, 흥남은 전쟁의 참혹함, 분단의 비극, 이산의 고통을 압축적으로 말해주는 시공간입니다. 이와 더불어 흥남철수는 연합군의 값진 희생과 피란민들이 보여준 생명과 자유를 향한 강렬한 의지, 대탈출 속에 피어난 인간애를 보여주는 아프고도 소중한 기억입니다. 이 전시는 1950년 겨울 흥남으로 모여들었고, 흥남을 떠났던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1부 ‘길 위의 전쟁’에서는 흥남철수의 배경을 담았습니다. 2부 ‘그 겨울의 항해’에서는 흥남철수의 실상과 그 기억을, 3부 ‘우리 안의 흥남’에서는 피란민의 정착생활, 실향민의 문화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이 전시를 통해 1950년 흥남을 떠난 항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우리 안에 그 겨울, 흥남이 살아있음을 기억하고자 합니다.
길 위의 전쟁War on the Road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기습적인 남침 이후 수세에 몰린 한국군과 유엔군은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전세를 역전시켰다. 10월 한국군과 유엔군은 38선을 넘어 압록강까지 다다랐다. 유엔군은 추수감사절까지 전쟁을 끝낼 수 있다는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하지만 10월 말 중국군의 전격적인 참전으로 한국군과 유엔군은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함경도 개마고원 부근의 장진호에서 고립된 유엔군은 참혹한 희생을 치르며 후퇴했다. 불과 두 달여 만에 전세가 역전되자 북한 주민들은 피란을 서둘렀다. 군인과 피란민들은 흥남을 향해 떠났다.
한국군과 미 해병대 마크 Badges of the ROK Army and the US Marine Corps 1950년대  8.5×9.5 / 8×9.4 미군용 레이션과 보관 상자 The US military rations and box 1950년대 레이션 지름7.7 높이5.5 외 / 상자 52.3×42×18.7
항미원조 표식 Badge inscribed ‘Resist the US Help North Korea’ 1950년대 4×5.3 The News Digest 2002~2013  21.2×27.8 The Chosin Few
그 겨울의 항해Sailing from Heungnam in the Winter of 1950
바람 찬 흥남부두에는 등에 어린아이를 업고, 짐을 지고 잃어버린 가족, 친지, 친구를 찾는 이들로 가득했다. 흥남철수는 군 병력의 해상탈출에다 피란민 수송까지 포함되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필사적인 해상 탈출이었다. 그러한 가운데 메러디스 빅토리 호는 승선을 원하는 피란민 14,000명을 수용했고, 항해 도중 5명의 아이가 태어나기도 했다. 전쟁의 참상과 피란의 애환, 숭고한 희생의 사연들이 배 안에서 펼쳐지고 있었다.
흥남철수 작전 보고서(Action Report) Report of Heungnam Withdrawal 1950 | 20×26.4 NARA 영일사전 English-Japanese Dictionary 연도미상 | 8.5×15 신유항
졸업장 Certificate of graduation 1949 | 11×16 손동헌 러니의 표창장 The US Government Citation awarded to J. Robert Lunney 1960 | 34.5×42 J. Robert Lunney
현봉학이 포니에게 쓴 편지 Letter from Bong-hak Hyun to Edward H. Forney 1950.12.20. | 봉투 16.3×11.2 / 편지 20.5×26.5 Ned Forney 각종 훈장 Medals of Edward H. Forney 1950년대 | 15×8 Ned Forney
현봉학이 포니에게 쓴 편지 Letter from Bong-hak Hyun to Edward H. Forney 1950.12.20. | 봉투 16.3×11.2 / 편지 20.5×26.5 Ned Forney
우리안에 흥남Heungnam within Us
피란민들은 남쪽에 발을 디디고 새로운 터전을 닦기 시작했다. 월남인들에게 피란시절은 남한에서 어떻게 생존해야 하는가를 고민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간 시기였다. 그들은 남한 사회에서 경계인으로서 ‘뜨내기’라고 불리기도 했고, 남다른 교육열과 생활력으로 ‘북청물장수’, ‘함경도 또순이’로 불리기도 했다. 누구보다 앞서 ‘반공’을 내세우기도 했다. 배 안에서 태어난 김치파이브의 가족은 전쟁에 반대하는 뜻으로 그들의 생업에 ‘평화’라는 간판을 내걸었다. 한편 흥남철수는 이후 소설, 가요, 영화 등에서 실향과 이산의 비극을 태동시킨 계기로서 묘사됐다. 작품 속에서는 피란과 정착과정의 고달픔, 전후 암울한 사회상 속에서도 생존을 위해 발버둥 치는 피란민의 모습이 그려졌다.
삐삐선으로 만든 가방과 기름병 PP wire woven bag and an oil bottle 1950년대 | 가방 31×28.5 / 병 입지름3 길이39.7 외 사진 앨범 Photo album of Hu-ja Lee 1950년대 이후 | 35.7×25.7 이후자
돌 사진 Picture of Gyeong-pil Lee celebrating his first birthday 1951 | 7.3×10.4 이경필 김수희 4집 LP LP The Heungnam Harbor 1984 | 31.5×31.5
유복연의 유서 Will to parents written by Bok-yeon Yu 2008 | 21×29.6 유상모 영화 「내가 마지막 본 흥남」 포스터 Movie poster of The Last Day I was in Heungnam 1983 | 52×75